728x90
반응형

철학 19

장자크 루소 철학의 사상 Step2

"고백"의 독자는 루소에게 공평무사하지 않았다. 루소는 "대화"에서 다시 자신을 법정에 세운다. 그는 이제 배심원의 수를 줄여 한 명의 '프랑스인'으로 일반화할 것이다. 자신의 무죄 변론을 용감히 맡아 줄 사람이 전혀 없으니 그는 피고이자 동시에 변호인이 된다. 그는 자신이 쓴 책을 제대로 읽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이를 통해 오해를 샀고 비난을 들었던 '장자크'를 '어두운 삼중의 장벽'에서 구하고자 한다. 여기서 루소는 분열을 받아들인다. 그의 마지막 저서가 된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에서 루소는 체념하고 최후의 독자로 자기 자신을 선택한다. 한 '예외적'인 존재가 갈망했던 '환대'는 응답받지 못했고, 그의 '예외성' 조차 인정할 수 있는 유일한 존재는 바로 자기 자신뿐임임을 깨닫는 마지막 순간, 분열된..

철학 2023.07.26

장자크 루소 철학의 사상 Step1

장자크 루소는 1712년 6월 2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1722년 아버지가 제네바를 떠나면서 그를 외삼촌에 맡겼고, 외삼촌은 그를 개신교 목사 랑베르시에가 운영하던 보세의 기숙 학교에 넣었다. 1725년 도제 일을 시작했으나 3년 만에 그만두고 제네바를 떠났다. 1728년 안시에 바랑 부인을 만나 이후 그녀의 후원을 받는다. 1742년 바랑 부인과 이별하고 파리에 올라와 디드로, 콩디야크 등과 친교를 맺으며 사교계에 드나들었다. 디드로의 요청으로 "백과사전"의 음악 항목을 맡아 썼고, 1749년에 디종 아카데미 현상 논문 공모에 "학문 예술론"을 제출하여 당선되면서 문인으로서의 이력을 시작한다. 1755년 출판된 "인간 불평등 기원론"이 전 유럽에 알려진다. 1758년에 디드로를 비롯한 "백과..

철학 2023.07.26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철학의 사상 Step2

"법철학"과 "역사 철학"을 읽고 헤겔에 대한 흥미가 동한 독자라면 다음 단계로 "자연 철학", 그리고 "정신 철학" 중 "주관 정신"편을 권할 만하다. "자연 철학"은 "철학적 학문의 백과사전"의 2부를 이루고 있는데, 헤겔 자신의 강의록과 제자들의 강의 노트를 보충해서 헤겔이 죽은 후 1843년에 출판한 것을 흔히 독립 저작으로 취급해 그렇게 부른다. 헤겔의 자연 철학 사상만큼 오해 받고 저평가된 분야도 없을 것이다. 심지어 헤겔 비판가들은 헤겔을 비판할 때 흔히 자연 철학을 빗대어 헤겔 철학의 무의미함과 터무니없음을 논증하고는 한다. 1801년 헤겔은 예나 대학에 교수 자격 논문을 제출해야 했는데, 그것이 바로 그의 최초의 자연 철학 관련 저술인 "행성 궤도에 관한 철학적 논구"였다. 거기서 헤겔은..

철학 2023.07.25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철학의 사상 Step1

게오르크 벨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은 1770년 8월27일 뷔르뎀베르크 공국(현 독일 서남부)의 슈투트가르트에서 태어났다. 1788년 남동일의 정통 루터파인 튀빙겐 신학교에 입학하여 신학과 고전을 공부했다. 졸업 후 베른과 플랑크푸르트에서 가정 교사 생활을 거쳐 1801년 셜링의 추천으로 예나 대학의 사강사 자리를 얻었다. 1805년 무급 비정규 교수로 승진했으나 1806년 예나가 나폴레옹에게 점령당하여 대학 폐쇄로 실직했다. 1807년 밤베르크로 이주하여 "밤베르크 신문" 편집장을 맏았다. 1808년에서 1815년까지 뉘르베르크 김나지움의 교장으로 재직하면서 철학을 가르치다가 1816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정교수가 되어 자신의 철학 체계를 강의했다. 1818년 베를린 대학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1830년 총..

철학 2023.07.24

질 드뢰즈 철학의 사항 Step2

앞에서 언급했던 "차이와 반복", "의미의 논란"와 반대로 독자가 "니체의 철학"을 잘 소화했다면, 이후에 전개될 들뢰즈 철학의 핵심 주제들 대부분을 거의 다 이해했다고 보아도 좋다. 그러나 국내에 소개된 번역에는 아쉬움이 커 다른 언어 번역으로라도 꼭 읽어 보기를 권한다. 다행이 들뢰즈는 이 책의 요약본도 출간했는데, "들뢰즈의 니체"가 그것이다. 분량이 짧은 것은 아쉽지만, 이 책은 니체의 생애에 대한 강렬한 소개, 니체 철학의 얼개, 니체의 주요 개념 해설, 니체의 주요 구절 발췌 등을 통해 들뢰즈 자신의 관점으로 그린 네치의 초상을, 어쩌면 들뢰즈 자신의 그것이기도 한 초상을 보여 준다. 니체 철학을 구성하는 두 축인 '힘'과 '권력(권력 의지)'은 니체 자신과 들뢰즈 자신에 대한 숱한 오해를 낳..

철학 2023.07.21

질 들뢰즈 철학의 사상 Step1

질 드뢰즈는 1925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포화를 피해 남프랑스로 피난을 간 동안 자신을 철학으로 이끈 스승을 만났으며, 결핵 수술 후 소르본 대학에서 공부하면서 당시의 파리 지식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다. 1962년 "니체의 철학"을 출판함으로써 프랑스 현대 철학의 새 장을 열었으며, 68혁명 이후 인생의 동지 펠릭스 과타리와 만나 공동 작업을 통해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 그리고 "철학이란 무엇인가?" 같은 결과물을 남긴다. 평생의 질병인 폐결핵 및 천식과 맞서면서도 심한 음주와 흡연을 멈추지 못하던 그는, 1995년 인공 생명 유지 장치에 의존하던 몇 년의 무력한 삶을 끝장내고자, 가족이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자신의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능동적으로 생을 마감..

철학 2023.07.21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사상 Step2

아우구스티누스가 쓴 "신국론" 스물두 권의 내용상 1~10권을 1부로, 11~22권을 2부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는 로마의 쇠퇴 원인을 그리스도교로 돌리는 비난에 대한 변호이며, 후반부는 로마 몰락의 대안으로서 '두 도성'의 개념을 통해 자신만의 역사 해석 틀을 제시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국론"을 왜 쓰게 되었을까? 410년 로마가 아리우스파 그리스도인 알라리쿠스에 의해 약탈당하자, 이는 로마가 전통적으로 섬겼던 여러 신을 무시하고 그리스도를 옹호한 데서 발생했다는 비난이 일었다. 북아프리카로 피신해 온 로마인들은 그곳 지도자인 아우구스티누스에게 그러한 비판에 대한 대답을 요구했고 "신국론"은 이에 대한 응답이다. 전반부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질문은 세 가지이다. 첫째, 로마의 몰락은 그리스도인의 잘..

철학 2023.07.21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사상 Step1

아우렐라우스 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 365~369년 마디우라에서, 371~374년 카르타고에서 라틴 문학과 수사학 등을 공부하고, 376년부터 카르타고에서 수사학을 가르쳤다. 373~382년 사이에 마니교도로 지냈다. 383년 로마로 갔으며, 이듬해 밀라노에서 수사학 교수가 되었다. 그해 암브로시우스 주교를 만나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386년 회심의 순간을 경험하고 그리스도인이 되어 387년 밀라노에서 세례를 받았다. 391년 히포에 도착해서 사제가 되고, 395년 주교가 되었다. 396~398년 "고백론"을 썼다. 403~411년 도나투스주의자들과 "교회의 본질"에 관해, 그리고 412~421년 펠라기우스주의자들과 "인간의 본성"에 관해 논쟁했다. 4..

철학 2023.07.21

소크라테스 철학의 사상 Step2

두 번째 단계는 소크라테스가 그의 대화속에서 다루었던 물음들, 즉 덕에 관한 대화편들을 읽어 보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덕"이라고 부르는 말은 원래 그리스어 "아레테 arete"를 옮긴 것인데, 이 말은 사람이나 동물, 혹은 사물에 내재된 기능적 탁월함을 뜻하였다. 예컨대 칼의 아레테는 잘 자르는 것이고, 말의 아레테는 잘 달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의 아레테는 무엇일까? 그것은 물론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탁월함일 것이다. 그리스인들은 그러한 인간적인 탁월함, 즉 것의 세부 항목으로 지혜, 경건, 분별, 용기, 정의 등을 들었다. 이 덕들을 갖춤으로써 사람들은 행복해질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도시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하기에 정계 입문을 꿈꾸던 젊은이들은..

철학 2023.07.19

소크라테스 철학의 사상 Step1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470년 혹은 469년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소프로니스코스는 석공 또는 목수이었고 어머니 파이나레테는 산파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이름과 직업 모두 확실치는 않다. 소크라테스는 시민의 의무에 따라 세 차ㅖ 참전한것을 제외하면, 한 번도 고향을 떠난 적이 없었다고 한다. 그는 크산티페라는 여인과 결혼하여 슬하에 세 명의 자식을 두었다고 하나, 세부적인 것들을 놓고 보면 이 역시 확실한 것은 아닌다. 생애만을 놓고 보자면, 소크라테스의 삶은 지극히 평범하다. 그렇다고 사상적인 면에서 독창적인 학설을 내세우거나 심오한 사유 체계를 수립한 것도 아니었다. 소크라테스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그가 일상적으로 영위했던 독특한 삶의 방식, 즉 철학적 대화였다. 그는 좋은 것과 나쁜 것에 ..

철학 2023.07.19

임마누엘 칸트 철학의 사상 Step2

칸트 독해의 2단계는 그의 주저, 곧 3대 비판서의 독파이다. 칸트 철학의 주요 방법이 "이성 비판"이라고 할 때, "이성"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철학은 자연 언어로 사유를 전개하거니와, 대개의 자연 언어는 의미 형성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고, 그만큼 의미가 다양하다. 그리고 여러 시대 여러 곳의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을 함유함으로써 생긴 그 의미의 다양성은 한편으로는 풍부성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애매모호성이다. "이성" 역시 그렇게 다야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칸트 또한 그렇게 사용한다. 인간이 "이성적 동물"이라는 규정을 받아들이고 나면, 인간의 마음 능력은 일단 "이성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가장 넓게는 인간의 마음 능력 전체를 "이성"이라 통칭하기도 하고, 때로는 이성을 이론적으로..

철학 2023.07.18

임마누엘 칸트 철학의 사상 Step1

칸트는 1724년 동프로이센의 중심 도시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났다. 1740년 괴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하여 1746년에 졸업하고 1755년 대학의 사강사로 강단에 서서 1770년 괴니히스베르크 대학의 "형이상학과 논리학" 강좌의 정교수가 되었다. 1781년에 "윤리 형이상학 정초", 1783년에 "(학문으로 등장할 수 있는 모든 장래의) 형이상학(을 위한)서설", 1785년에 "윤리 형이상학 정초", 1788년에 "실천 이성 비판", 1790년에 "판단력 비판", 1793년에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1795년에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하나의 철학적 기획)", 1797년에 "윤리 형이상학" (1편 "법 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 원리", "2편 덕 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 원리")등 역저를 잇따라..

철학 2023.07.18
728x90
320x10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