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철학 19

카를 마르크스 철학의 사상 Step2

1844년의 "경제학 / 철학 초고"는 이러한 그의 문제의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물론 아직 경제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지 않은 시기였고 따라서 그의 문제의식은 여전히 철학적인 영역에 머물러 있었다. 이 시기에 마르크는 현실의 모순이 경제적인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철학적인 수준에서 주로 "소회"라는 개념으로 집약 하고자 노력했다. 1843년 파리에서 시작된 마르크스의 망명은 그로 하여금 현실의 모순과 보다 구체적이으로 맞닥뜨리게 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다잇 프랑스는 영국에 이어 자본주의적 생산을 본격화하며 이로 인한 모순이 점차 심화되고 있었다. 이미 1789년 혁명의 전통을 가진 프랑스에서는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사회주의 사상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고 마르크스는 이들 사상가..

철학 2023.07.17

카를 마르크스 철학의 사상 Step1

마르크스는 1818년 포도주 산지로 유명한 독일 모젤 강변의 조용한 도시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대대로 독실한 유대교 잡이었으나 고등 법원 관리였던 아버지 대에 공직을 유지하기 위한 현실적 이해와 타협하여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1835년 아버지의 희망에 따라 마르크스는 법학 공부를 위해 집에서 멀지 않은 본 대학에 진학하였지만 이듬해 아들의 현실적 잘애를 고려한 아버지의 조언으로 다시 베를린 대학으로 옮겼다. 당시 베를린은 헤겔 철학의 소굴이였는데, 원래 봉건적 구체제를 타파하는 개혁적 성격을 띠고 있던 헤겔 철학은 위로부터의 개혁에 성공한 절대주의 국가였던 프러시아의 관변 철학으로 보수화되어 있었다. 그는 교수가 되기를 희망했으나 프러시아 정부에 의해 반체제 인사라는 이유로 좌절되고 만다. 공직으로의 진..

철학 2023.07.16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사상 Step2

"오르가논"의 저술들은 전체적으로, 어떤 학문에 들어서기 전에 갖춰야 할 논리적인 기초 지식의 성격을 띤다. 첫 번째 작품 "범주론"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먼저, 같은 낱말이라 하더라도 지시하는 사물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람"이라는 말은 실제 사람에 대해 쓰이기도 하고, 그림 속에 사람에 대해서도 쓰인다. 그리고 낱말이다 외연이 다른고, 이에 따라 서술 관계가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한다. "소크라테스"는 개별자이며 "사람"은 개별자들을 포괄하고 "동물"은 사람, 소 등을 포괄하는 보편자들이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지만, 사람은 소크라테스가 아니다. 그는 이런 예비 논의를 거쳐,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일정한 테두리 안에 가두어 실체, 양, 질, 관계 등의 열 가지 범..

철학 2023.07.15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사상 Step1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 그리스 북동 연안의 작은 마을 스타게이라에서 태어났다. 기원전 367년 아테네로 가서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에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당대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 그는 플라톤에게 "학당의 정신"이라 불릴 만큼 총애를 받기도 했지만, 점차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하며 연구와 강의를 병행했다. 기원전 347년 플라톤 사후 아카데미아의 수학화 경향과 정치적인 반감 때문에 아테네를 떠나 아소스, 뭐딜레네 등지로 떠돌며 특히 생물학을 연구했다. 한때 마케도니아로 가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될 13세 소년을 가르치다가 고향 지역에 머물렀다. 기원전 335년 그는 아테네로 돌아와 뤼케이온을 설립하고, 제잘들과 함께 모든 영역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새로운 학문적 전통을 만들어 갔다. 알렉산드로스..

철학 2023.07.15

르네 데카르트 철학의 사상

데카르트는 1596년 3월 31일 프랑스 라에에서 태어났다. 10세 때인 1606년에 라 플레슈에 새로 생긴 예수회 하교에 입학하여 18세인 1614년에 졸업한 후 푸아티에 대학에 입학하여 법학과 의학을 공부하고 1616년에 법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유럽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다가 1618년에 네덜란드로 가서 모리스 드 나소가 지휘하는 군대에 입대한다. 이때 네덜란드의 의학자이자 수학자인 이삭 베크만을 만나 음악과 수학적 자연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고, 이를 계기로 오랫동안 수학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1618년 최초의 저술인 음악 개론을 베크만에게 헌정한다. 1619년부터 1629년까지 "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들"을 집핑하지만 미완으로 남겼다. 이 작품은 1701년에 출판되었다. 하지만 출판 이전..

철학 2023.07.15

플라톤 철학의 사상 Step2

일반적으로 플라톤의 중기 대화편부터는 실제 소크라테스의 사상보다 플라톤 고유의 사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플라톤의 사상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바로 형상 이론이다. 그러나 뜻밖에도 플라톤의 대화편 가운데 형상 이론을 자세하게 다루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중기 대화편으로 꼽히는 "파이돈", "향연", "국가"에서도 형상에 대한 논의는 기대처럼 많지도 않고 구체적이지도 않다. "형상들의 형상"이라고 하는 '좋음'의 형상에 대한 언급하는 "국가"가 바로 그런경우이다. "국가"의 4권과 10권에서 비교적 자세하게 형상이론이 언급되지만 '좋음'의 형상에 대한 이야기는 다분히 비유적으로만 설명된다. 게다가 이 대화편의 가장 중요한 주제인 '정의(올바름이라고도 번역)의 형상에 대한 규정은 내내 막연한 상태에 머문다..

철학 2023.07.14

플라톤 철학의 사상 Step 1

플라토의 기원전 427년경 출생하여 기원전 347년경 사망하였다. 아버지 아리스톤과 어머니 페릭티오네의 집안은 모두 아테네의 명문가였다. 비극 작가와 정치가의 꿈을 꾸던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던 때는 그의 나이 20세 무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에도 여전히 정치를 통해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는 야망을 갖고 있던 플라톤이 결정적으로 이 야망을 접게 된 계기는 28세 때 소크라테스가 사형을 당하면서였다. 이후 그리스 본토, 이탈리아, 시칠리아, 이집트 등을 다녀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기원전 385년경 현실을 근본적으로 개혁할 길은 철학자를 기르는 것이라 믿고 아카데미아를 창설했다. 기원전 367년에 플라톤은 시칠리아 시라쿠사의 정치가 디온의 부탁을 받고, 새로이 권좌에 오른 나이 어린 시라쿠..

철학 2023.07.14
728x90
320x10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