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철학 14

장자크 루소 철학의 사상 Step1

장자크 루소는 1712년 6월 2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1722년 아버지가 제네바를 떠나면서 그를 외삼촌에 맡겼고, 외삼촌은 그를 개신교 목사 랑베르시에가 운영하던 보세의 기숙 학교에 넣었다. 1725년 도제 일을 시작했으나 3년 만에 그만두고 제네바를 떠났다. 1728년 안시에 바랑 부인을 만나 이후 그녀의 후원을 받는다. 1742년 바랑 부인과 이별하고 파리에 올라와 디드로, 콩디야크 등과 친교를 맺으며 사교계에 드나들었다. 디드로의 요청으로 "백과사전"의 음악 항목을 맡아 썼고, 1749년에 디종 아카데미 현상 논문 공모에 "학문 예술론"을 제출하여 당선되면서 문인으로서의 이력을 시작한다. 1755년 출판된 "인간 불평등 기원론"이 전 유럽에 알려진다. 1758년에 디드로를 비롯한 "백과..

철학 2023.07.26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철학의 사상 Step2

"법철학"과 "역사 철학"을 읽고 헤겔에 대한 흥미가 동한 독자라면 다음 단계로 "자연 철학", 그리고 "정신 철학" 중 "주관 정신"편을 권할 만하다. "자연 철학"은 "철학적 학문의 백과사전"의 2부를 이루고 있는데, 헤겔 자신의 강의록과 제자들의 강의 노트를 보충해서 헤겔이 죽은 후 1843년에 출판한 것을 흔히 독립 저작으로 취급해 그렇게 부른다. 헤겔의 자연 철학 사상만큼 오해 받고 저평가된 분야도 없을 것이다. 심지어 헤겔 비판가들은 헤겔을 비판할 때 흔히 자연 철학을 빗대어 헤겔 철학의 무의미함과 터무니없음을 논증하고는 한다. 1801년 헤겔은 예나 대학에 교수 자격 논문을 제출해야 했는데, 그것이 바로 그의 최초의 자연 철학 관련 저술인 "행성 궤도에 관한 철학적 논구"였다. 거기서 헤겔은..

철학 2023.07.25

질 들뢰즈 철학의 사상 Step1

질 드뢰즈는 1925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의 포화를 피해 남프랑스로 피난을 간 동안 자신을 철학으로 이끈 스승을 만났으며, 결핵 수술 후 소르본 대학에서 공부하면서 당시의 파리 지식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다. 1962년 "니체의 철학"을 출판함으로써 프랑스 현대 철학의 새 장을 열었으며, 68혁명 이후 인생의 동지 펠릭스 과타리와 만나 공동 작업을 통해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 그리고 "철학이란 무엇인가?" 같은 결과물을 남긴다. 평생의 질병인 폐결핵 및 천식과 맞서면서도 심한 음주와 흡연을 멈추지 못하던 그는, 1995년 인공 생명 유지 장치에 의존하던 몇 년의 무력한 삶을 끝장내고자, 가족이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자신의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능동적으로 생을 마감..

철학 2023.07.21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사상 Step1

아우렐라우스 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 365~369년 마디우라에서, 371~374년 카르타고에서 라틴 문학과 수사학 등을 공부하고, 376년부터 카르타고에서 수사학을 가르쳤다. 373~382년 사이에 마니교도로 지냈다. 383년 로마로 갔으며, 이듬해 밀라노에서 수사학 교수가 되었다. 그해 암브로시우스 주교를 만나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386년 회심의 순간을 경험하고 그리스도인이 되어 387년 밀라노에서 세례를 받았다. 391년 히포에 도착해서 사제가 되고, 395년 주교가 되었다. 396~398년 "고백론"을 썼다. 403~411년 도나투스주의자들과 "교회의 본질"에 관해, 그리고 412~421년 펠라기우스주의자들과 "인간의 본성"에 관해 논쟁했다. 4..

철학 2023.07.21

소크라테스 철학의 사상 Step2

두 번째 단계는 소크라테스가 그의 대화속에서 다루었던 물음들, 즉 덕에 관한 대화편들을 읽어 보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덕"이라고 부르는 말은 원래 그리스어 "아레테 arete"를 옮긴 것인데, 이 말은 사람이나 동물, 혹은 사물에 내재된 기능적 탁월함을 뜻하였다. 예컨대 칼의 아레테는 잘 자르는 것이고, 말의 아레테는 잘 달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의 아레테는 무엇일까? 그것은 물론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탁월함일 것이다. 그리스인들은 그러한 인간적인 탁월함, 즉 것의 세부 항목으로 지혜, 경건, 분별, 용기, 정의 등을 들었다. 이 덕들을 갖춤으로써 사람들은 행복해질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도시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하기에 정계 입문을 꿈꾸던 젊은이들은..

철학 2023.07.19

소크라테스 철학의 사상 Step1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470년 혹은 469년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소프로니스코스는 석공 또는 목수이었고 어머니 파이나레테는 산파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이름과 직업 모두 확실치는 않다. 소크라테스는 시민의 의무에 따라 세 차ㅖ 참전한것을 제외하면, 한 번도 고향을 떠난 적이 없었다고 한다. 그는 크산티페라는 여인과 결혼하여 슬하에 세 명의 자식을 두었다고 하나, 세부적인 것들을 놓고 보면 이 역시 확실한 것은 아닌다. 생애만을 놓고 보자면, 소크라테스의 삶은 지극히 평범하다. 그렇다고 사상적인 면에서 독창적인 학설을 내세우거나 심오한 사유 체계를 수립한 것도 아니었다. 소크라테스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그가 일상적으로 영위했던 독특한 삶의 방식, 즉 철학적 대화였다. 그는 좋은 것과 나쁜 것에 ..

철학 2023.07.19

임마누엘 칸트 철학의 사상 Step2

칸트 독해의 2단계는 그의 주저, 곧 3대 비판서의 독파이다. 칸트 철학의 주요 방법이 "이성 비판"이라고 할 때, "이성"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철학은 자연 언어로 사유를 전개하거니와, 대개의 자연 언어는 의미 형성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고, 그만큼 의미가 다양하다. 그리고 여러 시대 여러 곳의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을 함유함으로써 생긴 그 의미의 다양성은 한편으로는 풍부성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애매모호성이다. "이성" 역시 그렇게 다야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칸트 또한 그렇게 사용한다. 인간이 "이성적 동물"이라는 규정을 받아들이고 나면, 인간의 마음 능력은 일단 "이성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가장 넓게는 인간의 마음 능력 전체를 "이성"이라 통칭하기도 하고, 때로는 이성을 이론적으로..

철학 2023.07.18

임마누엘 칸트 철학의 사상 Step1

칸트는 1724년 동프로이센의 중심 도시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났다. 1740년 괴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하여 1746년에 졸업하고 1755년 대학의 사강사로 강단에 서서 1770년 괴니히스베르크 대학의 "형이상학과 논리학" 강좌의 정교수가 되었다. 1781년에 "윤리 형이상학 정초", 1783년에 "(학문으로 등장할 수 있는 모든 장래의) 형이상학(을 위한)서설", 1785년에 "윤리 형이상학 정초", 1788년에 "실천 이성 비판", 1790년에 "판단력 비판", 1793년에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1795년에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하나의 철학적 기획)", 1797년에 "윤리 형이상학" (1편 "법 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 원리", "2편 덕 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 원리")등 역저를 잇따라..

철학 2023.07.18

카를 마르크스 철학의 사상 Step1

마르크스는 1818년 포도주 산지로 유명한 독일 모젤 강변의 조용한 도시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대대로 독실한 유대교 잡이었으나 고등 법원 관리였던 아버지 대에 공직을 유지하기 위한 현실적 이해와 타협하여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1835년 아버지의 희망에 따라 마르크스는 법학 공부를 위해 집에서 멀지 않은 본 대학에 진학하였지만 이듬해 아들의 현실적 잘애를 고려한 아버지의 조언으로 다시 베를린 대학으로 옮겼다. 당시 베를린은 헤겔 철학의 소굴이였는데, 원래 봉건적 구체제를 타파하는 개혁적 성격을 띠고 있던 헤겔 철학은 위로부터의 개혁에 성공한 절대주의 국가였던 프러시아의 관변 철학으로 보수화되어 있었다. 그는 교수가 되기를 희망했으나 프러시아 정부에 의해 반체제 인사라는 이유로 좌절되고 만다. 공직으로의 진..

철학 2023.07.16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사상 Step2

"오르가논"의 저술들은 전체적으로, 어떤 학문에 들어서기 전에 갖춰야 할 논리적인 기초 지식의 성격을 띤다. 첫 번째 작품 "범주론"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먼저, 같은 낱말이라 하더라도 지시하는 사물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람"이라는 말은 실제 사람에 대해 쓰이기도 하고, 그림 속에 사람에 대해서도 쓰인다. 그리고 낱말이다 외연이 다른고, 이에 따라 서술 관계가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한다. "소크라테스"는 개별자이며 "사람"은 개별자들을 포괄하고 "동물"은 사람, 소 등을 포괄하는 보편자들이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지만, 사람은 소크라테스가 아니다. 그는 이런 예비 논의를 거쳐,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일정한 테두리 안에 가두어 실체, 양, 질, 관계 등의 열 가지 범..

철학 2023.07.15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사상 Step1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 그리스 북동 연안의 작은 마을 스타게이라에서 태어났다. 기원전 367년 아테네로 가서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에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당대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 그는 플라톤에게 "학당의 정신"이라 불릴 만큼 총애를 받기도 했지만, 점차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하며 연구와 강의를 병행했다. 기원전 347년 플라톤 사후 아카데미아의 수학화 경향과 정치적인 반감 때문에 아테네를 떠나 아소스, 뭐딜레네 등지로 떠돌며 특히 생물학을 연구했다. 한때 마케도니아로 가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될 13세 소년을 가르치다가 고향 지역에 머물렀다. 기원전 335년 그는 아테네로 돌아와 뤼케이온을 설립하고, 제잘들과 함께 모든 영역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새로운 학문적 전통을 만들어 갔다. 알렉산드로스..

철학 2023.07.15

르네 데카르트 철학의 사상

데카르트는 1596년 3월 31일 프랑스 라에에서 태어났다. 10세 때인 1606년에 라 플레슈에 새로 생긴 예수회 하교에 입학하여 18세인 1614년에 졸업한 후 푸아티에 대학에 입학하여 법학과 의학을 공부하고 1616년에 법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유럽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다가 1618년에 네덜란드로 가서 모리스 드 나소가 지휘하는 군대에 입대한다. 이때 네덜란드의 의학자이자 수학자인 이삭 베크만을 만나 음악과 수학적 자연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고, 이를 계기로 오랫동안 수학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1618년 최초의 저술인 음악 개론을 베크만에게 헌정한다. 1619년부터 1629년까지 "정신 지도를 위한 규칙들"을 집핑하지만 미완으로 남겼다. 이 작품은 1701년에 출판되었다. 하지만 출판 이전..

철학 2023.07.15
728x90
320x10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