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플라톤 6

소크라테스 철학의 사상 Step2

두 번째 단계는 소크라테스가 그의 대화속에서 다루었던 물음들, 즉 덕에 관한 대화편들을 읽어 보는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덕"이라고 부르는 말은 원래 그리스어 "아레테 arete"를 옮긴 것인데, 이 말은 사람이나 동물, 혹은 사물에 내재된 기능적 탁월함을 뜻하였다. 예컨대 칼의 아레테는 잘 자르는 것이고, 말의 아레테는 잘 달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의 아레테는 무엇일까? 그것은 물론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탁월함일 것이다. 그리스인들은 그러한 인간적인 탁월함, 즉 것의 세부 항목으로 지혜, 경건, 분별, 용기, 정의 등을 들었다. 이 덕들을 갖춤으로써 사람들은 행복해질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도시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하기에 정계 입문을 꿈꾸던 젊은이들은..

철학 2023.07.19

소크라테스 철학의 사상 Step1

소크라테스는 기원전 470년 혹은 469년 아테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소프로니스코스는 석공 또는 목수이었고 어머니 파이나레테는 산파였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이름과 직업 모두 확실치는 않다. 소크라테스는 시민의 의무에 따라 세 차ㅖ 참전한것을 제외하면, 한 번도 고향을 떠난 적이 없었다고 한다. 그는 크산티페라는 여인과 결혼하여 슬하에 세 명의 자식을 두었다고 하나, 세부적인 것들을 놓고 보면 이 역시 확실한 것은 아닌다. 생애만을 놓고 보자면, 소크라테스의 삶은 지극히 평범하다. 그렇다고 사상적인 면에서 독창적인 학설을 내세우거나 심오한 사유 체계를 수립한 것도 아니었다. 소크라테스를 유명하게 만든 것은 그가 일상적으로 영위했던 독특한 삶의 방식, 즉 철학적 대화였다. 그는 좋은 것과 나쁜 것에 ..

철학 2023.07.19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사상 Step2

"오르가논"의 저술들은 전체적으로, 어떤 학문에 들어서기 전에 갖춰야 할 논리적인 기초 지식의 성격을 띤다. 첫 번째 작품 "범주론"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먼저, 같은 낱말이라 하더라도 지시하는 사물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람"이라는 말은 실제 사람에 대해 쓰이기도 하고, 그림 속에 사람에 대해서도 쓰인다. 그리고 낱말이다 외연이 다른고, 이에 따라 서술 관계가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한다. "소크라테스"는 개별자이며 "사람"은 개별자들을 포괄하고 "동물"은 사람, 소 등을 포괄하는 보편자들이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지만, 사람은 소크라테스가 아니다. 그는 이런 예비 논의를 거쳐,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일정한 테두리 안에 가두어 실체, 양, 질, 관계 등의 열 가지 범..

철학 2023.07.15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사상 Step1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84년 그리스 북동 연안의 작은 마을 스타게이라에서 태어났다. 기원전 367년 아테네로 가서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에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당대 최고의 교육을 받았다. 그는 플라톤에게 "학당의 정신"이라 불릴 만큼 총애를 받기도 했지만, 점차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하며 연구와 강의를 병행했다. 기원전 347년 플라톤 사후 아카데미아의 수학화 경향과 정치적인 반감 때문에 아테네를 떠나 아소스, 뭐딜레네 등지로 떠돌며 특히 생물학을 연구했다. 한때 마케도니아로 가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될 13세 소년을 가르치다가 고향 지역에 머물렀다. 기원전 335년 그는 아테네로 돌아와 뤼케이온을 설립하고, 제잘들과 함께 모든 영역에서 연구를 수행하며 새로운 학문적 전통을 만들어 갔다. 알렉산드로스..

철학 2023.07.15

플라톤 철학의 사상 Step2

일반적으로 플라톤의 중기 대화편부터는 실제 소크라테스의 사상보다 플라톤 고유의 사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플라톤의 사상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바로 형상 이론이다. 그러나 뜻밖에도 플라톤의 대화편 가운데 형상 이론을 자세하게 다루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중기 대화편으로 꼽히는 "파이돈", "향연", "국가"에서도 형상에 대한 논의는 기대처럼 많지도 않고 구체적이지도 않다. "형상들의 형상"이라고 하는 '좋음'의 형상에 대한 언급하는 "국가"가 바로 그런경우이다. "국가"의 4권과 10권에서 비교적 자세하게 형상이론이 언급되지만 '좋음'의 형상에 대한 이야기는 다분히 비유적으로만 설명된다. 게다가 이 대화편의 가장 중요한 주제인 '정의(올바름이라고도 번역)의 형상에 대한 규정은 내내 막연한 상태에 머문다..

철학 2023.07.14

플라톤 철학의 사상 Step 1

플라토의 기원전 427년경 출생하여 기원전 347년경 사망하였다. 아버지 아리스톤과 어머니 페릭티오네의 집안은 모두 아테네의 명문가였다. 비극 작가와 정치가의 꿈을 꾸던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던 때는 그의 나이 20세 무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에도 여전히 정치를 통해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는 야망을 갖고 있던 플라톤이 결정적으로 이 야망을 접게 된 계기는 28세 때 소크라테스가 사형을 당하면서였다. 이후 그리스 본토, 이탈리아, 시칠리아, 이집트 등을 다녀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기원전 385년경 현실을 근본적으로 개혁할 길은 철학자를 기르는 것이라 믿고 아카데미아를 창설했다. 기원전 367년에 플라톤은 시칠리아 시라쿠사의 정치가 디온의 부탁을 받고, 새로이 권좌에 오른 나이 어린 시라쿠..

철학 2023.07.14
728x90
320x10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