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사상 Step1

2023. 7. 21. 10:33철학

728x90

Augustinus Hipponensis B.C.354~B.C.430

아우렐라우스 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

365~369년 마디우라에서, 371~374년 카르타고에서 라틴 문학과 수사학 등을 공부하고, 376년부터 카르타고에서 수사학을 가르쳤다.

373~382년 사이에 마니교도로 지냈다.

383년 로마로 갔으며, 이듬해 밀라노에서 수사학 교수가 되었다.

그해 암브로시우스 주교를 만나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386년 회심의 순간을 경험하고 그리스도인이 되어 387년 밀라노에서 세례를 받았다.

391년 히포에 도착해서 사제가 되고, 395년 주교가 되었다.

396~398년 "고백론"을 썼다.

403~411년 도나투스주의자들과 "교회의 본질"에 관해, 그리고 412~421년 펠라기우스주의자들과 "인간의 본성"에 관해 논쟁했다.

413년~426년 "신국론"을 썼다.

430년 8월에 히포에서 생을 마쳤다.

 

아우구스티누스는 5세기에 활동한 신학자이지만 그의 영향은 단순히 그리스도교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서구 문명의 토대가 그리스도교이며, 서구 그리스도교 사상의 주춧돌을 놓은 사람이 아우구스티누스이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은 그가 삶의 여정에서 만난 여러 사상과 종교, 특히 플라톤에 기초한 헬레니즘과 바울로에 기초한 헤브라이즘을 씨실과 날실로 삼아 직조한 결과물이다.

그는 중세 라틴 사상의 틀을 구축했으며, 이후 서구 그리스도교와 문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는 어떤 고대 사상가보다 월등히 많은 저작을 남겼지만, 논리적이고 조직적인 사상 체계를 남긴 것은 아니다.

그의 평생의 화두는 "참된 행복의 추구"였다. "참된 행복이 무엇이며, 그것이 어디에 있는가?를 질문했는데, 그 대답은 "하느님 안에서 행복의 추구"였다. 그는 신앙과 이성의 상호 관련성을 모색하면서, "이해하기 위해서 믿는다"곡 고백했다.

사상사에서 그의 위상은 "저수지"나 "문"에 비유할 수 있다.

그는 고대의 다양한 사상과 종교, 그리스도교 신학이 흘러 들어간 저수지였으며, 중세 그리스도교 사상의 거의 모든 물줄기는 그 저수지에서 나왔다.

그는 고대 세계를 마감하고 중세 세계를 시작한 사람으로, 고대와 중세를 가르는 문과 같다.

 

아우구스티누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고백론"부터 시작하기를 권한다.

"고백론"은 396~398년에 기록된 열세 권의 책으로, 널리 알려진 세계적인 문학 작품이다.

도대체 고백할 것이 얼마나 많아 열세 권씩이나 썼을까? 이 책을 왜 그렇게 위대한 문화 작품으로 칭찬할까?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 세례, 어머니 모니카의 죽음까지 그의 삶에서 내적 발전 과정을 담고있기에 이 책은 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고백론"은 '객관적'인 자전적 보고서라기보다는 자신의 삶에 대한 설차이다.

하느님에게 보내는 산문시 형태로 쓰인 "고백론"의 구조는 다소 혼란스럽다.

1~9권에서는 개종 전까지의 그릇된 행동에 대한 고백을, 10~13권에서는 하느님과 창조에 대한 찬미를 다룬다.

내용 면에서 두 부분으로 나뉠 뿐만 아니라, 전개 방식에도 차이가 있다.

1~9권은 자서전적 형식으로 서술하며, 10~13권은 주교이자 성서 주석가로 당시 마음의 상태를 기록했다.

그런데 "고백론"에서 개인의 이야기와 창조 이야기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이야기가 모든 피조물에 해당하는 축소판이라고 생각한다.

타락한 피조물이 집을 그리워하며 하느님의 사랑을 찾아 "회심"한다는 이야기는 자신뿐 아니라 모든 피조물의 이야기였다.

그래서 9권까지 방탕한이들이 경험했던 것을 개인적 차원에서 이야기하고, 그런 다음에는 앞서 말한 것을 우주적 차원에서 전개한 것이다.

즉 10~13권은 원숙한 사상을 담고 있다.

삶의 자리가 바뀌면 세계관이 어떻게 변하는지, '삶과 세계관의 관계성'에 주목해 "고백론"을 읽을 필요가 있다.

"참된 교육"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주교가 된 195년을 기준으로 삼을 때 전기 저작에 해당하는데, 이는 "고백론" 이전의 가장 중요한 작품이라 할 수 잇다.

389~390년 타가스테에서 쓴 책으로, 당시까지의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요약이며 이후에 전개될 사상 체계의 백서라 할 만하다.

"참된 교육"는 '마니교를 떠난 이유가 무엇이며, 그리스도인이 된 계기는 무엇인가?'에 대한 아우그스티누스의 대답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는 모든 것의 창조자이며 모든 것 위에 존재하는 우주를 통치하는 유일한 하느님을 경외하는 종교를 옹호하고 이교도를 비판하고자 이 책을 썼다.

"참된 교육"는 그가 훗날 여러 저작에서 다루게 될 주제인, 철학과 종교의 관계, 성서와 이성의 관계, 역사에 대한 철학 해석, 육적인 인간과 영적인 인간이라는 범주화, 인식론의 근간이 되는 내적 조명과 진리로의 귀환, 회의를 통한 의심의 극복 등을 다룬다.

언뜻 보기에 변증서 같지만, 이론적이고 철학적인 대활르 통해 플라톤 철학과 그리스도교 사상의 조화를 시도한 사상서라고 볼 수 있다.

신학자의 관점으로 본 중세 '철학과 종교의 관계'는 무엇인지 관심을 갖고 읽어 보자.

 

스물두 권으로 이루어진 "신국론"은 아우구스티누스가 14년(413~426)에 걸쳐 쓴 책으로 그리스도교의 역사 철학을 담는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