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독해의 2단계는 그의 주저, 곧 3대 비판서의 독파이다. 칸트 철학의 주요 방법이 "이성 비판"이라고 할 때, "이성"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철학은 자연 언어로 사유를 전개하거니와, 대개의 자연 언어는 의미 형성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고, 그만큼 의미가 다양하다. 그리고 여러 시대 여러 곳의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을 함유함으로써 생긴 그 의미의 다양성은 한편으로는 풍부성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애매모호성이다. "이성" 역시 그렇게 다야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칸트 또한 그렇게 사용한다. 인간이 "이성적 동물"이라는 규정을 받아들이고 나면, 인간의 마음 능력은 일단 "이성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가장 넓게는 인간의 마음 능력 전체를 "이성"이라 통칭하기도 하고, 때로는 이성을 이론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