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칸트 2

임마누엘 칸트 철학의 사상 Step2

칸트 독해의 2단계는 그의 주저, 곧 3대 비판서의 독파이다. 칸트 철학의 주요 방법이 "이성 비판"이라고 할 때, "이성"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철학은 자연 언어로 사유를 전개하거니와, 대개의 자연 언어는 의미 형성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고, 그만큼 의미가 다양하다. 그리고 여러 시대 여러 곳의 수많은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을 함유함으로써 생긴 그 의미의 다양성은 한편으로는 풍부성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애매모호성이다. "이성" 역시 그렇게 다야한 의미를 가지고 있고, 칸트 또한 그렇게 사용한다. 인간이 "이성적 동물"이라는 규정을 받아들이고 나면, 인간의 마음 능력은 일단 "이성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가장 넓게는 인간의 마음 능력 전체를 "이성"이라 통칭하기도 하고, 때로는 이성을 이론적으로..

철학 2023.07.18

임마누엘 칸트 철학의 사상 Step1

칸트는 1724년 동프로이센의 중심 도시 쾨니히스베르크에서 태어났다. 1740년 괴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하여 1746년에 졸업하고 1755년 대학의 사강사로 강단에 서서 1770년 괴니히스베르크 대학의 "형이상학과 논리학" 강좌의 정교수가 되었다. 1781년에 "윤리 형이상학 정초", 1783년에 "(학문으로 등장할 수 있는 모든 장래의) 형이상학(을 위한)서설", 1785년에 "윤리 형이상학 정초", 1788년에 "실천 이성 비판", 1790년에 "판단력 비판", 1793년에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1795년에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하나의 철학적 기획)", 1797년에 "윤리 형이상학" (1편 "법 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 원리", "2편 덕 이론의 형이상학적 기초 원리")등 역저를 잇따라..

철학 2023.07.18
728x90
320x10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