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리스토텔레스 3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사상 Step2

"오르가논"의 저술들은 전체적으로, 어떤 학문에 들어서기 전에 갖춰야 할 논리적인 기초 지식의 성격을 띤다. 첫 번째 작품 "범주론"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먼저, 같은 낱말이라 하더라도 지시하는 사물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사람"이라는 말은 실제 사람에 대해 쓰이기도 하고, 그림 속에 사람에 대해서도 쓰인다. 그리고 낱말이다 외연이 다른고, 이에 따라 서술 관계가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한다. "소크라테스"는 개별자이며 "사람"은 개별자들을 포괄하고 "동물"은 사람, 소 등을 포괄하는 보편자들이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지만, 사람은 소크라테스가 아니다. 그는 이런 예비 논의를 거쳐,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일정한 테두리 안에 가두어 실체, 양, 질, 관계 등의 열 가지 범..

철학 2023.07.15

플라톤 철학의 사상 Step2

일반적으로 플라톤의 중기 대화편부터는 실제 소크라테스의 사상보다 플라톤 고유의 사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플라톤의 사상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바로 형상 이론이다. 그러나 뜻밖에도 플라톤의 대화편 가운데 형상 이론을 자세하게 다루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중기 대화편으로 꼽히는 "파이돈", "향연", "국가"에서도 형상에 대한 논의는 기대처럼 많지도 않고 구체적이지도 않다. "형상들의 형상"이라고 하는 '좋음'의 형상에 대한 언급하는 "국가"가 바로 그런경우이다. "국가"의 4권과 10권에서 비교적 자세하게 형상이론이 언급되지만 '좋음'의 형상에 대한 이야기는 다분히 비유적으로만 설명된다. 게다가 이 대화편의 가장 중요한 주제인 '정의(올바름이라고도 번역)의 형상에 대한 규정은 내내 막연한 상태에 머문다..

철학 2023.07.14

플라톤 철학의 사상 Step 1

플라토의 기원전 427년경 출생하여 기원전 347년경 사망하였다. 아버지 아리스톤과 어머니 페릭티오네의 집안은 모두 아테네의 명문가였다. 비극 작가와 정치가의 꿈을 꾸던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었던 때는 그의 나이 20세 무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에도 여전히 정치를 통해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는 야망을 갖고 있던 플라톤이 결정적으로 이 야망을 접게 된 계기는 28세 때 소크라테스가 사형을 당하면서였다. 이후 그리스 본토, 이탈리아, 시칠리아, 이집트 등을 다녀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기원전 385년경 현실을 근본적으로 개혁할 길은 철학자를 기르는 것이라 믿고 아카데미아를 창설했다. 기원전 367년에 플라톤은 시칠리아 시라쿠사의 정치가 디온의 부탁을 받고, 새로이 권좌에 오른 나이 어린 시라쿠..

철학 2023.07.14
728x90
320x100
LIST